1. 조적조
바닥에 기초를 치고 벽돌로 벽체를 쌓아서 만들어 벽체가 응력을 받는 구조이다.
아래 사진과 같이 안벽은 시멘트벽돌에 공간을 구획하고 외벽은 치장벽돌로 마감하며 단열은 시멘트
벽돌과 치장벽돌 사이에 스티로폼 등으로 채워넣어서 만드는 구조다.
벽돌의 종류와 색상이 다양하며 지붕디자인에 따라 주택의 외관 모습을 다양하게 표현할수 있다.
조적조와 비슷한 구조로 공간 구획을 시멘트 벽돌이 아닌 블럭을 사용하여 만드는 구조이다.
주택보다는 창고와 같은 외기영향을 중요시 않는 건물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3. 철골조(스틸하우스)
철골 자재의 따라 경량철골과 중량철골로 분류하며 기둥과 보가 응력을 받는 구조이다.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으며 기둥과 기둥사이의 벽체가 응력을 받는 구조가 아니므로 벽체를
다양한 소재로 표현할수 있다.
4. 철근콘크리트조
바닥과 기초를 치고 거푸집을 이용하여 폼을 형성하고 그 안에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와 지붕을 만드는 구조이다.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에 저항하고 철근은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이다.
5.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주요구조체를 철골로 형성하고 철근과 콘크리트를 모두 사용하여 뼈대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전원주택보다는 대형건축물에 주로 쓰이는 구조이다.
7. 목구조
기둥과 보의 구조체를 나무를 이용하여 형태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목조건축은 크게 전통한옥과 통나무 건축, 그리고 목구조 건축으로 나눌수 있다.
목구조는 사용하는 가공목재의 모양 및 종류의 따라 경량목조와 중목조가 있다.
중목구조
경량목구조
한옥구조
|